• 간암

정의

  • 발생부위
  •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횡격막(橫隔膜, 가로막) 바로 밑, 겉으로 보았을 때 오른쪽 젖가슴 아래에 있는 갈비뼈의 안쪽에 위치합니다.
  • 정의 및 종류
  • 간암은 간에서 일차적으로 발생한, 즉 원발성(原發性)의 악성 종양을 의미합니다. 일반인들은 다른 기관에서 간으로 전이된 암도 흔히 간암이라고 부르지만, 엄밀하게는 원발성의 암만을 가리킵니다. 병리학적(조직적)으로 원발성 간암에는 간세포암종과 담관상피암종, 간모세포종, 혈관육종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, 이 중 간세포암종과 담관상피암종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.

원인

  • 위험요인
  • 간암의 중요한 원인은 B형과 C형 간염바이러스의 감염입니다. 최근의 한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간암 환자의 72.3%가 B형 간염바이러스(HBV) 표면항원 양성(陽性), 11.6%가 C형 간염바이러스(HCV) 항체 양성이었고, 10.4%가 장기간 과음 경력자, 10.3%가 기타 원인과 연관이 있었습니다. 간경변증(속칭 간경화) 환자의 경우 1~7%에서 간암이 발생합니다. 간암은 간경변증이 심할수록, 연령이 높을수록 잘 생기고, 남자 환자가 많습니다.

예방

  • 예방법
  • 간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잘 알려진 위험요인들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. 개인간 B형/C형 간염바이러스 전염을 예방하고, 과도한 음주를 삼가하고, 비만이나 당뇨와 같은 대사질환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. 만성 바이러스간염 환자는 적절한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며, 간암의 위험을 높이므로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검진을 해야 합니다.
  • 조기검진
  • 40세 이상이면서 B형, C형 간염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거나 연령과 상관없이 간경변증으로 진단 받으신 분은 6개월마다 복부 초음파검사와 혈청의 알파태아단백(α-胎兒蛋白) 측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.

증상

  • 일반적 증상
  • 간암의 증상으로는 상복부에 통증이 있거나 덩어리가 만져지는 것, 복부 팽만감, 체중 감소, 심한 피로감, 소화불량 등이 있습니다. 하지만 간은 ‘침묵의 장기’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로 병변의 증상이 늦게야 나타난다는 데 유의해야 합니다.

진단

  • 진단방법
  • 혈청 속의 알파태아단백을 측정하는 혈액검사와, 초음파검사, 전산화단층촬영(CT), 자기공명영상촬영(MRI) 등의 영상검사가 있으며, 조직검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.
  • 감별진단
  • 간에 생기는 원발성 암종 가운데 간내(肝內) 담도암은 치료 방침이 간암과 다릅니다. 육종 등 드문 종류의 암종, 다른 장기로부터의 전이암 등도 각기 알맞은 치료 방식이 있습니다. 그러니 환자의 암이 어느 종류의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.

치료

  • 치료방법
  • 환자의 간 기능과 전신 상태로 보아 치료에 들어갈 만하다고 판단되면 병변의 수술(간절제술), 간이식, 고주파열치료술, 혹은 에탄올주입술 등과 같은 국소치료술을 통해 암의 완치를 지향합니다(근치적 치료). 간암이 많이 진행된 단계라서 이러한 치료법들을 적용할 수 없다면 경동맥화학색전술(化學塞栓術), 방사선치료, 항암화학요법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(비근치적 치료).
  • 치료의 부작용
  • 간 절제 수술 후 흔한 합병증으로는 창상 부위의 감염이나 출혈, 일시적인 담즙유출, 황달, 복수 등이 있습니다. 이는 적절한 약물치료나 간단한 수술로 쉽게 회복이 가능합니다. 간 이식 수술의 경우는 감염을 주의해야 하며, 기존 감염이 재발할 수 있으니 조기 관리가 필요합니다. 경동맥화학색전술의 경우 조영제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, 고주파 열치료의 경우는 감기와 같은 가벼운 합병증이 대부분입니다. 방사선치료 중에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항암화학요법에서는 백혈구나 혈소판, 헤모글로빈 수치의 감소, 수족 피부 부작용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• 재발 및 전이
  • 간암을 초기에 발견하면 완치 등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, 발견 당시에 암이 상당히 진행돼 있는 경우가 흔하며, 간경변증 등으로 간 기능이 나빠서 최선의 치료를 하더라도 재발되는 사람이 많습니다.